본문 바로가기
영양학

식도질환 중 연하곤란과 위식도역류질환

by 하리놀렌 2024. 6. 15.
반응형

1. 연하곤란


1) 분류
음식물을 삼키기 어려운 구강인두 성 연하곤란과 음식을 삼킨 후 식도에서 위로의 이동이 어려운 식도 성 연하곤란이 있습니다. 구강인두 성에서는 음식물을 식도로 보내지 못하므로 음식물이 기도로 들어가 기침하거나 코로 역류하며, 부드럽고 굳은 음식보다 액체 음식을 삼키기가 더 힘든 현상입니다. 식도 성에서는 기계적인 폐쇄가 있는 경우에 고형음식에 대해, 식도운동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고체와 액체 모두에 대해 삼키는 것을 어려워합니다.

2) 원인
연하곤란이란 음식물을 삼키는 것에 대한 장애로 식도 수술, 종양(양성, 악성), 식도염, 식도 무 이완증, 협착 등으로 인해 식도가 좁아지거나 신경계 질환(뇌졸중, 파킨슨병), 근육질환(중증근무력증 등), 머리손상, 뇌종양 등으로 인해 연하운동에 어려움이 나타난 경우에 발생합니다.

3) 증상
음식을 먹거나 마시는 능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식사에 대한 두려움이나 식욕부진에 따른 불충분한 식사로 인해 체중감소와 영양결핍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흡인성 폐렴이나 탈수 및 질식 등의 합병증도 초래될 수 있습니다.

4) 식사요법
음식물을 안전하게 삼킬 수 있도록 음식의 점도와 질감을 조절하면서 적절한 영양상태를 유지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습니다. 원인이 되는 질환에 따라 연하곤란의 정도 및 증상이 각각 다르게 나타나므로 환자의 상태를 고려하여 개별적으로 적절히 조절합니다.
(1) 부드러운 음식: 음식을 부드럽고 촉촉하고 매끄럽게 조리하며 알맹이 형태로는 가급적 제공하지 않습니다. 건조하거나 바삭거리고, 거칠하고 질김, 끈적거리는 음식은 제한합니다.
(2) 걸쭉한 액체: 흡인의 위험 때문에 액체(수분 포함) 공급이 어려운 경우에는 탈수를 예방하기 위해 액체에 점도 증진제(젤라틴 채소(과일)퓌레, 시판 농후제 등)를 사용하여 걸쭉하게 해서 공급합니다. 또한 흡인의 위험이 있거나 경구로의 식품 섭취가 불충분한 경우에는 경관급식을 고려합니다.
(3) 연하 반응 촉진: 음식을 다양한 색과 맛, 냄새로 구성하여 식욕을 돋웁니다. 저작과 연하 반응을 촉진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 찬 음식, 향이 강한 음식 및 양념(마늘, 후추, 양파, 계피 등)을 이용합니다. 조금씩 자주 섭취하며, 식사 시에는 곧은 자세로 앉아 목을 약간 숙이는 자세를 취하고, 식후에는 15~30분 정도 앉아 있어야 합니다.

식사는 일반적으로 환자의 연하 능력에 따라 1단계에서 3단계로 진행하며, 식사 원칙은 아래와 같습니다.
주식: 갈은 죽, 일반 죽, 된 죽 또는 진밥
반찬: 갈아서 걸쭉하고 부드러운 상태, 곱게 다짐, 부드러운 음식
유제품: 요구르트 등
과일: 간 생과일, 다진 과일, 황도 통조림이나 바나나 등의 부드러운 과일
국물: 국, 물김치 제한하고 묽은 액체 대신 되직한 액체, 식사 적응 정도에 따라 국물 약간 제공 가능, 밥은 국물 섭취가 가능할 때 제공

2. 위식도역류질환


1) 원인
위 내용물이 식도로 거꾸로 올라와 불편한 증상을 일으키거나 이에 따라 합병증을 유발하는 경우입니다.
위식도역류를 일으키는 원인 중 가장 중요한 것이 하부식도괄약근입니다. 이는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고 있으며, 따라서 정상적인 식도는 하부식도괄약근의 수축으로 위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합니다. 그러나 어떤 이유로 기능에 장애가 발생하여 압력이 감소하면 하부식도괄약근의 수축이 잘되지 않아 역류의 위험이 증가합니다. 이 압력은 흡연, 음주, 식사(고지방식, 초콜릿, 박하류, 커피, 마늘, 양파), 약물복용(도파민, 모르핀, 테오필린 등), 호르몬(가스트린, 에스트로젠, 프로게스테론) 분비 증가 등에 의해 감소합니다.
또한 복부비만, 과식, 지나치게 조이는 옷, 허리띠 조여 매기, 복수, 임신 등으로 인해 복압이 상승하면 하부식도괄약근의 수축력을 넘어서게 되어 역류 현상이 나타납니다.
위 배출 기능 저하로 음식물이 위에 오래 머무는 경우나 식후 바로 눕기, 취침 전 음식 섭취, 식후의 구부리는 동작, 계속되는 구토, 탈식도증(식도 열공헤르니아: 식도가 횡격막을 통과하는 구멍인 식도열공이 어떤 원인에 의해 느슨해지거나 커져서 그 틈을 통하여 위의 일부가 흉강 안으로 미끄러져 들어간 상태) 등도 식도 역류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2) 증상
가슴 중앙에서 목을 따라 올라오는 타는 듯한 가슴쓰림이나 산 역류(구강 내 신물 또는 쓴물)가 전형적으로 나타나며, 그 외 흉통, 삼킴장애, 만성기침, 쉰 목소리, 천식, 목 이물감 등의 증상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위식도역류가 계속되면 산성의 위액이 식도 점막(주로 식도 아랫부분)에 염증을 일으켜 식도염이 발생합니다. 일부에서는 식도협착, 배릿 식도, 흡인성 폐렴, 후두염 등이 나타납니다.

3) 식사요법
목표는 식도역류를 막고 염증이 있는 식도 점막의 자극을 방지하며 위액의 산도를 감소시켜 자극을 줄이는 데 있습니다. 따라서 하부식도괄약근의 압력을 낮추지 않는 무자극성 식사로서 단백질을 충분히 공급하는 부드러운 식사가 권장됩니다.
위식도역류질환의 영양 관리지침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압력 증가: 살코기, 생선 두부, 콩 등을 담백하게 조리
(2) 식도역류 감소: 표준체중 유지, 변비 예방, 식후 바로 눕지 않으며 취침 전(2~3시간)의 음식 섭취 자제, 상체를 살짝 높인 상태로 수면
(3) 식도 자극, 위산 분비 감소: 지방, 카페인, 알코올, 박하유, 마늘, 양파 등 제한, 금연, 매운 음식, 토마토와 감귤류 섭취 제한

배릿 식도란 식도역류가 오래 지속되면 위와 연결되는 식도 끝부분의 점막이 위산에 노출되면서 정상식도 점막을 이루는 편평상피세포가 위에서 관찰되는 장상피화생이 동반된 원주상피세포로 변하게 됩니다. 이를 1950년 처음 발견한 의사의 이름을 따서 배릿 식도라고 부릅니다. 식도선암(선세포에서 발생하는 암)으로 진행될 위험이 높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