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양학

당뇨병의 합병증 종류와 치료 방법과 운동 요법

by 하리놀렌 2024. 7. 7.
반응형

1. 합병증


합병증의 발생은 당뇨병의 유병 기간 및 혈당 수준과 밀접하게 관련됩니다. 크게 급성과 만성으로 나눌 수 있는데, 급성 합병증에는 고삼투압성 고혈당 상태, 당뇨병성 케톤산혈증, 저혈당증이 있고, 만성 합병증에는 대혈관 합병증, 미세혈관 합병증, 당뇨병성 신경병증이 있습니다.

만성 고혈당은 혈관과 신경에 손상을 주고, 혈액순환과 신경 기능을 순조롭지 못하게 하며, 감염을 쉽게 일으킵니다. 만성 합병증 중 대혈관 합병증은 주로 심뇌혈관질환을 포함하며, 미세혈관 합병증은 당뇨병성 망막병증, 당뇨병성신증이 있습니다. 당뇨병성 족부 병변은 말초동맥질환과 당뇨병성신경병증의 합병증입니다.

1) 당뇨병성 망막병증
성인 실명의 가장 흔한 원인이며 당뇨병 발생 후 5~6년이 지나면 발생하기 쉽습니다. 망막세포 내에서 포도당이 소르비톨이나 과당으로 전환되면서 삼투압 증가로 수분이 축적되어 망막세포가 팽창되는 역기능이 발생합니다. 시야가 흐려지고 실명이 될 수도 있으나 혈당과 혈중 지방 농도를 적절히 조절하면 망막증을 예방하거나 지연시킬 수 있습니다.

2) 당뇨병성신증
말기신부전의 주요 원인이며 심혈관질환의 발생이나 사망률 증가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합니다. 당뇨병성신증의 초기 단계에는 미세알부민뇨가 지속해서 나타나며 현성 단백뇨 발생 후 수년 내의 말기신부전증으로 이행될 수 있습니다.

또한 혈청 크레아티닌과 사구체여과율이 60 이하, 3개월 이상 지속될 경우 만성 신질환으로 진단하는데 90 이상이면 만성 신질환 1단계, 60~89면 2단계, 30~59는 3단계, 15~29는 4단계 15 미만이면 5단계로 투석이 필요합니다.

3) 당뇨병성신경병증
소르비톨과 과당이 신경에 축적되어 말초신경에서 중추신경에 이르기까지 이상이 나타납니다. 이는 혈중 포도당이 상승할 때 과당과 소르비톨로 전환이 많아져서 체내 축척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팔, 다리가 쑤시고 아프며 심해지면 감각이 상실됩니다. 상처와 감염이 팔, 다리에 생기면 조직의 사멸로 괴저가 나타나는데, 심한 경우에는 절단해야 합니다.

4) 동맥경화증
당뇨병으로 죽상동맥경화증, 심근경색증, 뇌혈관질환, 괴저 등이 나타납니다. 대혈관이 막혀 혈액순환이 순조롭지 못하여 다리와 발의 혈액순환에 장애가 생기고 상처나 감염이 되었을 때 치료가 지연됩니다.


5) 당뇨병성 족부궤양
당뇨병성신경병증과 말초동맥질환의 흔한 합병증으로 하지 절단의 주요 원인입니다. 아래와 같은 위험인자에 의해 족부궤양의 위험이 증가합니다.
하지 절단과 족부궤양의 과거력, 말초신경병증, 발 변형, 말초혈관질환, 시력 저하, 당뇨병성신증(특히 투석 중인 환자), 불량한 혈당 조절, 흡연

모든 당뇨병 환자는 족부궤양의 고위험 요소를 확인하기 위해 매년 발 검사를 시행해야 하며, 10g 모노필라멘트 검사, 진동감각 검사, 발목반사, 바이오 세시 오미터를 이용한 진동감각역치 검사를 이용하여 보호 감각 소실을 확인해야 합니다.

 


2. 치료


치료 방법으로는 식사요법, 약물요법, 운동요법이 있습니다. 이 가운데 식사요법이 가장 중심이 되며, 필요한 경우에는 인슐린이나 경구혈당강하제의 약물요법이 병행됩니다. 또한 운동요법도 식사요법과 약물요법을 도와주므로 필요합니다.

1) 경구혈당강하제
세포 인슐린의 수용체 민감도를 향상하고 췌장을 자극하여 인슐린의 분비를 촉진하므로 제2형 당뇨병 환자의 혈당을 조절하는 데 사용됩니다. 경구혈당강하제는 당화혈색소 수치 6.5% 미만을 목표로 하여 사용하며 모니터링하면서 용량을 가감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용량을 최대치로 사용하여도 혈당 조절이 목표치에 이르지 못한 경우에는 다른 기전의 약제를 추가하거나 인슐린을 투여하도록 합니다. 환자의 특성에 따라 약물의 용량을 최대치로 사용하기 전에 다른 약제를 추가하는 조기 병합요법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2) 인슐린
인슐린은 제1형 당뇨병 외에도 경구혈당강하제로 잘 조절되지 않거나(당화혈색소 7.0% 이상) 당화혈색소 10% 이상인 제2형 당뇨병 진단 초기, 케톤산증이나 비 케톤 성 혼수 등의 응급환자나 인슐린 요구량이 급증하는 경우에 일시적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또한 임신을 준비 중이거나 임신을 한 당뇨병 환자는 경구혈당강하제를 중단하고 인슐린요법을 시행해야 합니다. 인슐린은 단백질이므로 소화관에서는 가수분해되어 비활성화되므로 구강으로는 섭취할 수 없고 정맥이나 피하 내에 주사하여야 합니다.

상업용 인슐린은 소나 돼지와 같은 동물의 췌장에서 추출, 정제하여 만든 제제로 종류에 따라 효과 발현 시간, 최대 효과 시간, 효과 지속시간이 다르므로 환자의 병세와 혈당치, 식사 내용을 고려하여 각 환자에게 가장 적합한 인슐린의 종류와 투여량을 결정합니다. 또한 인슐린 주사 후 최장 시간과 식사 시간이 잘 맞아야 효력이 좋으므로 식사 시간을 철저히 잘 지켜야 합니다.


(1) 인슐린의 분류
인슐린의 효과 발현 시간과 지속시간에 따라 초속효성, 속효성, 중간형, 지속성, 혼합형 인슐린으로 분류됩니다.
초속효성 인슐린은 효과 발현 시간이 15분 미만으로 빠르나 효과 지속시간이 3~4시간으로 짧습니다. 최대 효과 시간은 30~90분 정도입니다.
속효성 인슐린은 30~60분, 지속시간이 4~6시간이고, 최대 효과 시간은 2~3시간 정도입니다.
중간형은 1~4시간으로 느리나 지속시간이 10~16시간으로 깁니다. 최대 효과 시간은 6~10시간입니다.
지속형은 1~2시간이지만 지속시간이 24시간으로 깁니다. 최대 효과 시간은 6~8시간입니다.
혼합형은 초속효성 또는 속효성 인슐린과 지속성 인슐린을 혼합한 인슐린으로, 효과 발현 시간이 5~15, 30~60분으로 빠르나 효과 지속시간이 24시간으로 깁니다.

(2) 인슐린 주입 시 주의 사항
일반적으로 인슐린 주사는 지방과 조직 사이에 주사 부위를 겹치지 않도록 돌아가면서(예를 들어 아침에는 팔, 저녁에는 다리) 놓아 피부에 알레르기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인슐린 주사 후 바로 심한 운동을 하면 인슐린의 순환을 빠르게 하여 저혈당증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되도록 삼갑니다.

같은 부위에 주사할 경우 지방 증식이나 위축이 생겨 인슐린 흡수가 저하되므로 부위를 옮겨가며 주사합니다. 복부에 주사할 경우 다른 부위보다 흡수가 30% 더 빠릅니다.

3) 운동요법
규칙적인 운동은 당뇨병 발병 고위험군의 당뇨병 발병을 예방하고, 당뇨병 환자의 혈당을 원활히 조절하며, 인슐린의 민감성을 향상해 합병증의 예방 및 진행 속도를 저하합니다.

일주일에 4일 이상 또는 적어도 일주일에 150분의 유산소 운동(걷기, 자전거 타기, 조깅, 수영 등)을 하되 규칙적으로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운동에 의한 에너지소비로 저혈당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운동 전 혈당이 100ml/dL 미만의 경우에는 간식을 보충합니다. 혈당 조절이 안 되거나 케톤산증, 증식성 망막병증이 있을 경우에는 고강도 운동을 금합니다.

임신성당뇨병 환자가 가벼운 운동(20~30분 걷기)을 하는 경우, 혈당 조절과 과도한 태아 성장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되지만 임신성고혈압, 자궁출혈, 자궁경관 무력증, 조기 진통 등의 금기사항이 있을 경우에는 운동을 금합니다.

반응형